치매의 정의와 특성과 삶의 질 향상 방안

 치매(dementia)라는 용어는 원래 ‘정신이 나갔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디멘트(dement)에서 유래된 것이며 프랑스의 정신과 의사인 피넬(pinel)이 처음으로 사용하였습니다. 1993년에 제정된 국제질병분류의 수정 기준을 보면 치매는 만성 혹은 진행성 뇌 질환에 의해서 발생하고 기억, 판단, 상황인식, 계산, 학습, 표현 등 다수의 고위 대뇌 기능 장애로 이루어진 증후군입니다. -치매의 특성 1. 기억력장애. 새로운 것을 잘 기억하지 못하여 물건 놓아둔 곳을 쉽게 잊는 증상이며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대뇌피질을 침범하는 치매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초기증상입니다. 초기에는 이전에 습득한 자료에 대한 기억상실은 뚜렷하지 않고 단기기억의 감퇴가 주로 나타나지만, 점차 장기기억도 상실하게 되는 기억력장애가 나타납니다. 2. 지남력의 상실.  차츰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상실하게 되며 지금이 언제인지, 여기가 어디인지, 옆에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모르게 됩니다. 하지만, 아무리 지남력의 상실이 심하여도 치매노인은 의식의 장애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3. 언어능력의 감퇴. 무의미한 말을 반복하거나 언어의 의미나 관계를 구분하지 못해 엉뚱한 답변을 하기도 합니다. 특히나 알츠하이머형 치매나 혈관성치매와 같이 피질을 침범하는 노인은 언어능력에 영향을 주어 물체의 이름을 대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4. 실행증. 치매노인은 운동능력과 감각기능이 온전하고 주어진 작업에 대하여 이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행위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음식을 만들거나 옷을 제대로 입지 못하기도 합니다. 5. 실인증. 지각 기능이 온전함에도 불구하고, 물체를 알아보거나 지각하지 못하고 정상적인 시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가족을 알아볼 수 없게 되며 거울 속에 있는 자신의 모습조차 알아보지 못합니다. 6. 집행기능의 장애. 치매의 흔한 증상 중 하나이고, 특히나 전두엽이나 이와 연관된 피하질성 경로의 자앵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 집행기능에는 추상적으로 생각하고 복잡한 행동을 계획,

철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철학 공부의 본질

인간은 지능을 가짐으로 말미암아 이 지구 위에서 특수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체력이나 체질로 보면 결코, 생물의 세계에서 가장 강한 존재가 될 수 없는 인간이 지구 위의 패권을 잡게 된 것은 오로지 그의 지능 덕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지능은 인간을 위하여 반드시 고맙고 유기한 기능이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인간의 지능이 신의 그것이 그렇다고 상상하고 있는 것처럼 완전무결한 것이었다면 그것은 인가을 위해 오로지 고맙기만 한 은혜임에 틀림이 없었을 것이지만 사실은 인간의 지능이 매우 불완전하며 때로는 오류를 범하기 쉬운 안타까운 기능인 까닭에 차라리 없느니 만도 못한 화근으로 작용할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금단의 열매 속에 담긴 우의도 저 위험한 지능이 부를지도 모를 불행을 경고하는 뜻을 바탕으로 삼았다고 보아도 크게 어긋나지 않을 것입니다. 지능이 인간을 위해 어느 정도 고마운 것이고 또 어느 정도 위태로운 것이냐에 대해서는 사람들에 따라서 견해가 구구합니다. 하지만, 인간이 지능을 가졌고 그 지능이 절대자의 그것처럼 완전한 것이 아니라 어떠한 한계를 가진 기능이라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지금 그것이 무엇일까 하고 궁금하게 여기는 철학이라는 이름의 것이 바로 그 유한한 인간의 기능으로서의 지능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졌다고 하는 것도 누구나 의심할 수 없는 분명한 사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간에게 만약에 지능이 없었으면, 철학이라는 것이 생겼을 리가 없고 또한 그 지능이 절대자의 그것처럼 완전했더라도 철학은 없었을 것입니다.지식에 대한 사랑이 철학의 근본인 셈입니다.


지식 또는 지혜에 관한 뜨거운 사랑이 철학을 하는 정신의 근본임에는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으나, 지능을 가진 존재이므로 인간은 항상 알기를 원하고 또 그 지능이 신의 그것처럼 무한하지 못하는 까닭에 지식에 대한 인간의 사랑에는 충만 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으며 거듭된 노력에 따르는 괴로움이 있는 것입니다.


철이 들기도 전의 어린 시절부터 우리는 많은 호기심, 놀라움의 시선으로 주위를 바라보면서 알아왔습니다. 이것은 무엇인지, 저것은 왜 그런지하면서 수많은 질문을 퍼부으면서 자라는 동안에 알게 된 것도 적지 않으나 사실은 대부분 겉만 좀 알다 말고 깊은 속은 후일을 ㅜ이한 숙제로 남겨 두었습니다.


초등학교에서부터 중학교를 거치면서 고등학교로 진학하고 배우는 동안에 많은 것을 알게 되었디만 알면 알수록 의문의 반경도 커졌고 자랄수록 사회적 책임이 커짐에 따라서 당면하는 문제도 많아지는 까닭에 결국에 나이를 먹으면서 모르는 것이 많아진 것도 사실입니다.


날이 갈수록 늘어가며 생각할수록 어려워지는 이 문제들을 굳이 해결하려고 애쓰지 않고 되는 대로 모르는 대로 그저 살아가기를 원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런 생활 태도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들의 경우에 자기 앞을 가로막는 문제들을 시원하게 풀고 싶은 의욕이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리고 이런 의욕이 안내하는 대로 따라가면 끝에는 철학이라는 것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하는 것이 철학입니다.


철학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는 사람은 적지 않고, 그러한 비판에 전혀 근거가 없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그와 같은 비판이 철학에 관한 깊은 이해에 입각한 것 같지는 않고 모든 종류의 철학에 반드시 적합한 비판도 아닌 것으로 보일 것입니다. 철학은 반드시 현실과 유리되어야 할 이유가 없을 뿐만 아니라 철학도 사실은 현실의 절실한 요청에 뿌리를 두고 자라는 인간정신의 한 산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철학이 일종의 사유 혹은 사유의 산물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따라서, 철학은 모든 사유가 공통으로 갖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 절실히 요구되는 필요에 의하여 생긴 것이라는 특색이 있습니다. 사유 한다는 것은 실지에 있어서 즐거운 일이기보다는 골치 아프며 괴로운 일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도대체 우리는 왜 사유를 하는 것일까요?

인생의 과정이 그것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인간은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필요에 몰려서 생각하는 것입니다.


모든 일이 원하는 대로 원활하게 퍼져 나가자면 아마 우리는 사유라는 것을 갖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인생에는 뜻대로 되지 않는 순간이 많고 순간에 부딪칠 때마다 우리는 우리의 앞길을 가로막는 장애를 제거하고 스스로의 뜻을 이루고자 원합니다.


그 순간 우리는 스스로 해결해야 할 문제의 상황 속으로 던져집니다. 왜 이럴까,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무엇일까 따위의 물음으로부터 시작된 생각을 도중에 멈추지 않고 그 물음이 완전히 풀릴 때까지 밀고 나갈 때에 우리는 그것을 철학적 태도라고 부르고 철학과 현실 생활과의 거리가 반드시 처음부터 멀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철학에서 정치, 국가의 관계에 관한 고찰

불교의 가르침은 어디서 오는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