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의 정의와 특성과 삶의 질 향상 방안

 치매(dementia)라는 용어는 원래 ‘정신이 나갔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디멘트(dement)에서 유래된 것이며 프랑스의 정신과 의사인 피넬(pinel)이 처음으로 사용하였습니다. 1993년에 제정된 국제질병분류의 수정 기준을 보면 치매는 만성 혹은 진행성 뇌 질환에 의해서 발생하고 기억, 판단, 상황인식, 계산, 학습, 표현 등 다수의 고위 대뇌 기능 장애로 이루어진 증후군입니다. -치매의 특성 1. 기억력장애. 새로운 것을 잘 기억하지 못하여 물건 놓아둔 곳을 쉽게 잊는 증상이며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대뇌피질을 침범하는 치매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초기증상입니다. 초기에는 이전에 습득한 자료에 대한 기억상실은 뚜렷하지 않고 단기기억의 감퇴가 주로 나타나지만, 점차 장기기억도 상실하게 되는 기억력장애가 나타납니다. 2. 지남력의 상실.  차츰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상실하게 되며 지금이 언제인지, 여기가 어디인지, 옆에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모르게 됩니다. 하지만, 아무리 지남력의 상실이 심하여도 치매노인은 의식의 장애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3. 언어능력의 감퇴. 무의미한 말을 반복하거나 언어의 의미나 관계를 구분하지 못해 엉뚱한 답변을 하기도 합니다. 특히나 알츠하이머형 치매나 혈관성치매와 같이 피질을 침범하는 노인은 언어능력에 영향을 주어 물체의 이름을 대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4. 실행증. 치매노인은 운동능력과 감각기능이 온전하고 주어진 작업에 대하여 이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행위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음식을 만들거나 옷을 제대로 입지 못하기도 합니다. 5. 실인증. 지각 기능이 온전함에도 불구하고, 물체를 알아보거나 지각하지 못하고 정상적인 시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가족을 알아볼 수 없게 되며 거울 속에 있는 자신의 모습조차 알아보지 못합니다. 6. 집행기능의 장애. 치매의 흔한 증상 중 하나이고, 특히나 전두엽이나 이와 연관된 피하질성 경로의 자앵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 집행기능에는 추상적으로 생각하고 복잡한 행동을 계획,

한국 신학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안 모색

신학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1. 신학은 앞으로도 더욱 다양화하고 복잡해집니다.

통일된 보편적 신학체계를 구성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해지며 대신에 각자의 구체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다양한 지역 신학들이 계속 나타날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의 신학계는 한편으로는 세계 신학과 교류하면서도 동시에 한국의 전통과 현재의 구체적인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는 신학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그동안 한국 신학계는 한편으로 개혁주의 신학이라는 이름의 전통적 보수신학이, 다른 한편으로는 유럽이나 북미의 신학 혹은 남미의 해방 신학 등의 수입 신학이 주도했습니다. 하지만, 세계의 신학들이 각자 나름 지역 신학을 형성하고 있는 지금에서 한국의 신학 역시 진정으로 한국적인 신학, 곧 횡적으로는 현의 한국 사회 정치 경제 문화에 대한 분석과 종적으로는 역사 속에서 한국의 정신구조를 만들어 온 종교와 문화의 분석 사이의 교차점에 서서 2천여 년 기독교 전통을 총체적으로 살피는 가운데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찾아내 창조적으로 종합하는 신학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2. 신학의 지역화로 인하여 신학들 사이의 고립은 더욱 커지고 있고 이로 인하여 지역 신학들 사이에서 대화의 필요성이 더욱더 요청될 것입니다.

이러한 대화가 진행되면 될수록 정녕 기독교적 신학은 무엇이고, 또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가 하는 신학의 본질과 방법론에 대한 질문이 심각하게 제기될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한국의 신학계 역시나 한국의 상황과 기독교 전통 상의 건강한 긴장을 유지하고 기독교적 정체성과 상황적 적합성을 같이 갖춘 신학을 형성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은 지극히 한국적 신학이 되어야 할 것이나 동시에는 기독교 전통에 깊이 뿌리박고 세계 교회의 신학 운동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자기를 변혁하는 신학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3. 신학의 구체성 세계 연광성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질 것입니다.

세계의 신학은 종래의 상아탑 안의 신학, 소수 엘리트의 신학에서 벗어나 교회와 세상 속의 구체적인 삶에서 힘을 얻고 그것을 신학화 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이미 서구의 많은 신학교는 파트타임으로 공부하는 평신도들, 특히나 여성들에 의해 채워지고 있고, 그 수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등장은 신학의 대중화와 구체화를 앞당길 뿐만 아니라 교회의 리더십에도 영향을 주어 교회의 사역과 구조를 크게 변화시킬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의 신학 교육 역시나 신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 교인들의 신학적 수준을 끌어올리고 그들의 지적 요구에 부응하도록 바뀌어 가야 할 것입니다.




4. 신학에서 이론적 탐구와 영성적 실천 사이의 통합이 가속화될 것입니다.
현대 세계는 근대 서구의 기계적, 합리적, 객관적인 세계 이해를 넘어서 유기적, 초합리적, 주관적인 세계 이해로 이행하고 있는 가운데 곳곳에서 영적 현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오늘날 책, 영화, TV, 연극, 음악 등의 거의 모든 것들이 영적인 소재를 다루어야만 팔릴 정도로 영적 실재에 대한 관심이 성황을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이러한 영적 경험에 대한 추구는 소비주의적인 행태로 전락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신학은 다양한 영적 경험을 분별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하는 길잡이 역할을 해야 할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철학에서 정치, 국가의 관계에 관한 고찰

철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불교의 가르침은 어디서 오는 가